변수???
코딩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저희가 연습할때에는 많이 사용 안 할 수 도 있는데 실무에서는 엄청나게 많이 사용하겠죠?
그리고 사용자가 많아지면 프로그램이 부담스러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메모리 관리도 나중에 가면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됩니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선언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선언 방식은
String test;
int age;
String 이나 int은 값의 종류 (문자형인지 정수(숫자) 인지) 지정해주는 역활을 하고
test 나 age는 변수명으로 값을 넣은 것을 사용하거나 넣을때 쓸 것입니다.

"변수를 선언한다"
라는 말도 많이 쓰지만 "변수를 초기화" 라는 말의 뜻은 변수의 초기값을 넣는냐? 안넣는냐의 따라 말이 달라집니다.
12345 나 "자바 테스트입니다" 같이 소스에 집접 저희가 친 값을 리터럴 이라고 합니다.

변수 값을 보는 방법은 System.out.println 을 사용하여 콘솔창이라는 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자바 테스트 입니다"
"12345"
값이 나오게 됩니다.
데이터 타입

타입에는 기본적으로 8개가 있습니다.
중요하니 꼭 알아주세요~

타입을 잘못쓰면 두번째 a1와 같이 에러가 뜨게 됩니다.
근데 나는 저 형태를 살려서 쓰고 싶을때가 있을때는 어떻게 할까요? 그때 필요한게 형변환 입니다.

예를 들어 값이 문자인데 String에 들어가는게 맞는데 이걸 int에 넣고 싶으면 Integer.valueOf() 를 사용하여 넣고
값이 숫자인데 int에 들어가는게 맞지만, String.valueOf를 사용하여 숫자를 바꿔 넣을 수 있습니다.

한가지 경우 도 더 설명을 할껀데요. 이건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이루어 지는 경우입니다.
원래 1 int 타입에 들어가는게 맞지만 뒤에 "111" 이 더 붙어 있습니다.
숫자랑 문자랑 + 를하는데 수학에서의 + 는 숫자에게 만 통했지만 여기서는 문자랑 숫자랑도 합칠 수 있습니다.
합치게 되면 1 + 111 해서 112 가 되냐? 결론은 1111 로 더하기 빼기 가 아닌 붙이기 식으로 되어버린다.

마지막으로 타입별로 최대나 최솟값을 쓰고 싶을때 이런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식으로 최대/ 최솟값이 알고 싶으면 위에 표를 참고해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밍 > 자바(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java] 클래스(class) 필드, 생성자, 메소드,오버로딩 (0) | 2020.04.11 |
---|---|
[자바/java] 배열 (다차원 배열, 깊은복사, 얕은복사) (0) | 2020.04.11 |
[자바/java] 반복문(for문, while문, do while문) (0) | 2020.04.11 |
[자바/java] 조건문 (if문, while문) (0) | 2020.04.10 |
[자바/java] 연산자 (논리 연산자, 산술 연산자, 삼항연산자) (0) | 2020.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