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얻는 전통적인 수단은 public 생성자이다.
하지만 모든 프로그래머가 꼭 알아둬야 할 기법이 하나 더 있다.
클래스는 생성자와 별도로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제공할 수 있다.
원래는 valueOf 사용하기 위해서는 new valueOf 와 같은 객체 생성이 필요하지만 static 메서드를 사용하면 생성없이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class객체를 선언하고 안에있는 메서드를 호출하는 식이라 불편함을 느낄수 있다.
하지만 static을 사용할 정적 메서드는 장점과 단점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잘 이해하고 사용해야 한다.
먼저 좋은 점으로는 ( 장점 )
-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생성자에 넘기는 매개변수와 생성자 자체만으로는 반환될 객체의 특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반면, 정적 팩터리는 이름만 잘 지으면 반환될 객체의 특성을 쉽게 묘사할 수 있다.
- 호출될 때마다 인스턴스를 새로 생성하지는 않아도 된다.
위에서 말했듯이 Item.valueOf(boolean) 과 같이 객체를 아예 생성하지 않아도 된다.
새로 생성한 인스턴스를 캐싱하여 재활하는 식으로 불필요한 객체생성을 피할 수 있다.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이 꼉우가 성능을 더욱 끌어올려 줄 수 있고, 싱글턴 꽈 같은 패턴을 사용할 경우 보안항의 이유의로 보호를 할 수 있다.
- 반환 타입의 하위 타입 객체를 반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 능력은 반환할 객체의 클래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엄청난 유연성'을 선물한다.
API를 만들때 유연성을 응용하면 구현 클래스를 꽁개하지 않고도 그 객체를 반환할 수 있어 API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인터페이스를 정적 팩터리 메서드의 반환 타입으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기반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핵심 기술이기도 하다.
- 입력 매개변수에 따라 매번 다른 클래스의 객체를 반환할 수 있다.
반환 타입의 하위 타입이기만 하면 어떤 클래스의 객체를 반환하든 상관없다.
심지어 다음 릴리스에서 또 다른 클래스의 객체를 반환해도 된다.
-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작성하는 시점에는 반환할 객체의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이런 유연한으로 서비스 젝공자 프레임워크를 만드는 근간이 된다.
대표적인 서비스 제공자 프레임워크로는 JDBC가 있다.
서비스 제공자 프레임워크에서의 제공자는 서비스의 구현체다.
그리고, 이 구현체들을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역활을 프레임워크가 통제하여, 클라이언트를 구현체로부터 분리해준다.
그리고, 이제 단점으로는 어떤게 있을까?
- 상속을 하려면 public이나 protected 생성자가 필요하니 정적 팩터리 메서드만 제공하면 하위 클래스를 만들 수 없다.
앞서 이야기한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유틸리티 구현 클래스들은 상속할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어찌보면 이 제약은 상속보다 컴포지션을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불변타입으로 만들려면 이 제약을 지켜야 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장점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 정적 팩터리 메서드는 프로그래머가 찾기 어렵다.
생성자처럼 API설명에 명확히 드러나지 않으니 사용자는 정적 팩터리 메서드 방식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할 방법을 알아내야 한다.
이 일을 언젠가 자바독이 알아서 처리해줬으면 좋겠으나, 그날이 오기까지는 API 문서를 잘 써놓고 메서드 이름도 널리 알려진 규약을 따라 짓는 식으로 문제를 완화해줘야 한다.
참고 : 이펙티브 자바 ( 저자: 조슈아 블로크 )
'프로그래밍 > 자바(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펙티브 자바] 객체 생성과 파괴(2) (0) | 2022.11.06 |
---|---|
[이펙티브 자바] 객체의 생성과 파괴 (1) | 2022.09.22 |
[자바/java] File 클래스 (0) | 2020.06.15 |
[자바/java] 표준입출력 System, RandomAccessFile (0) | 2020.06.13 |
[자바/java] 파일 입출력(I/O) , InputStream, OutputStream (0) | 2020.06.10 |